스크립트가 작동하지 않으면 사이트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바로가기

에너지경제연구원

메인메뉴

  • 검색
    • 통합검색
    • 소장자료
    • 메타검색
    • 신착자료
    • 정기간행물
  • 전자자료
    • e-Journals A to Z
    • Core Journals
    • e-Books
    • 학술DB
    • 통계DB
    • 전문정보DB
    • 최신 e-리포트
  • KEEI발간물
    • KEEI연구보고서
    • 정기간행물
    • 발간물회원
  • 참고웹사이트
    • 국제기구
    • 통계기관
    • 국가별에너지관련부처
    • 국내외유관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기관
    • 에너지 전문지
  • My Library
    • 개인정보수정
    • 대출/연장/예약
    • 희망도서신청
    • 입수알림신청
    • 원문신청
    • 내보관함
    • 검색이력조회
  • 도서관서비스
    • Mission&Goals
    • 전자도서관이용안내
    • 도서관 이용안내
    • 공지사항
    • 웹진

전체메뉴

  • 검색
    • 통합검색
    • 소장자료
    • 메타검색
    • 신착자료
    • 정기간행물
  • 전자자료
    • e-Journals A to Z
    • Core Journals
    • eBooks
    • 학술 DB
    • 통계 DB
    • 전문정보 DB
    • 최신 e-리포트
  • KEEI 발간물
    • 연구보고서
    • 정기간행물
    • 발간물회원
  • 참고웹사이트
    • 국제기구
    • 통계기관
    • 국가별 에너지관련부처
    • 국내외 유관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기관
    • 에너지전문지
  • My Library
    • 개인정보수정
    • 대출/연장/예약
    • 희망도서신청
    • 입수알림신청
    • 원문신청
    • 내보관함
    • 검색이력조회
  • 도서관서비스
    • Mission&Goals
    • 전자도서관이용안내
    • 도서관이용안내
    • 공지사항
    • 웹진

닫기

검색

홈아이콘 > 검색 > 상세보기

상세보기

표지이미지
자료유형 : KEEI보고서
서명 : 에너지빈곤층 추정 및 에너지 소비특성 분석
여러형태의서명 : Measuring Energy Poverty and Analyzing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저자 : 연구책임자 윤태연, 박광수
참여자 : 이현주, 김현경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형태사항 : ii iii v 128 p., 도표 그래프, 24 cm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 16-02
일반사항 : 외부 참여자 ; ; 이현주(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현경(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지주기 : 참고문헌(p.125-128)수록
키워드 : 에너지빈곤 , 연료비 비율, 에너지바우처
ISBN : 9788955045772
청구기호 : RP KEEI 연5 16-02
제공URL : http://www.keei.re.kr/web_keei/d_results.nsf/0/0AABA5535DB7AAF64925810700037EA6/$FILE/%EA%B8%B0%EB%B3%B8%202016-02%20%EC%97%90%EB%84%88%EC%A7%80%EB%B9%88%EA%B3%A4%EC%B8%B5%20%EC%B6%94%EC%A0%95%20%EB%B0%8F%20%EC%97%90%EB%84%88%EC%A7%80%20%EC%86%8C%EB%B9%84%ED%8A%B9%EC%84%B1%20%EB%B6%84%EC%84%9D.pdf
QR Code 정보
 

태그

입력된 태그 정보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소장자료

관계정보

부가정보

에너지빈곤층 지표의 정책적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에너지빈곤층 추정방법들에 대해 검토·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연료비 비율'과 '최소에너지' 기준을 비롯하여, 최근 제안된 바 있는 '부담가능비용' 기준, 그리고 정책적 중요성을 감안하여 '에너지바우처' 기준 등 총 4가지 추정방법들에 대해 실증하였다.
우선 '연료비 비율' 기준은 가구의 연료비와 소득을 직접 포함하기 때문에 적용이 간편하고 지역 간 비교 역시 용이하다. 주거환경을 고려하지 못하는 국내 여건에서 두 변수 모두를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은 큰 강점이다. 하지만 연료비 부담이 극심하여 필요이상으로 지출을 줄여야하는 과부담 저소득 가구는 에너지빈곤층에서는 배제된다. 해당 가구는 전체 '연료비 비율' 기준 에너지빈곤가구의 53.7%에 해당하는 상당한 규모로, 이들 중 절반가까이는 안정적인 에너지소비가 필요한 노인가구이다. 가장 취약한 가구 상당수가 오히려 에너지빈곤층 선정에서는 제외될 수 있다.
다음으로 '최소에너지' 기준은 가구의 연료비 지출에 초점을 맞춘다. 연료비만 고려하는 만큼 최소에너지비용에 대한 기준선을 설정하는데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반면 기존 연구들에서는 '가구균등화지수'가 적용되는 최저광열비를 추가적인 보정절차 없이 기준선으로 이용한다. 더 큰 문제는 가구에서 실제 지출한 연료비를 사용하는데서 발생한다. 연료비 지출은 상대적으로 가구소득 보다는 주거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연료비 지출액은 가구의 주거환경이 반영된 비용으로, 주거환경이 양호할수록 지출액은 줄어들게 된다. 결과적으로 에너지빈곤층에 포함될 확률 역시 높아진다. 주거환경을 고려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책에 활용하기에 무리가 있다.
'에너지바우처' 기준은 가구소득 외에 노인가구나 유아가구 등으로 가구유형에 제한을 둔다. 하지만 가구유형에 해당되지 않아 제외되는 가구들 역시 '에너지바우처' 기준 에너지빈곤층과 비교하여 연료비 지출이나 가구소득, 그리고 주거환경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사한 연료비 부담을 안고 있음에도 가구유형 때문에 에너지빈곤층에서 탈락하게 되는 사각지대 가구가 다수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건민(2015)이 제안한 '부담가능비용' 기준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실증하였다. 해당 기준은 고정적인 지출이 필요한 에너지 재화의 특수성을 이용하며, 가구에서 이루어지는 지출 결정과정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경제학적으로 가장 합리적인 기준일 수 있다. 하지만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연료비의 비중이 작기 때문에 연료비 보다는 가구의 소득에 의해 에너지빈곤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부담가능비용' 기준에서 추정하는 에너지빈곤층은 빈곤가구로 볼 수 있지만 에너지빈곤에 해당한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4가지 에너지빈곤층 기준 모두 각자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에너지빈곤층 추정에 사용하기에는 그 한계가 분명하다.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한 에너지빈곤층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에너지빈곤의 정의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리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관련 연구 및 자료의 축적이 필요하다.

서평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첫 서평의 주인공이 되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