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립트가 작동하지 않으면 사이트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바로가기

에너지경제연구원

메인메뉴

  • 검색
    • 통합검색
    • 소장자료
    • 메타검색
    • 신착자료
    • 정기간행물
  • 전자자료
    • e-Journals A to Z
    • Core Journals
    • e-Books
    • 학술DB
    • 통계DB
    • 전문정보DB
    • 최신 e-리포트
  • KEEI발간물
    • KEEI연구보고서
    • 정기간행물
    • 발간물회원
  • 참고웹사이트
    • 국제기구
    • 통계기관
    • 국가별에너지관련부처
    • 국내외유관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기관
    • 에너지 전문지
  • My Library
    • 개인정보수정
    • 대출/연장/예약
    • 희망도서신청
    • 입수알림신청
    • 원문신청
    • 내보관함
    • 검색이력조회
  • 도서관서비스
    • Mission&Goals
    • 전자도서관이용안내
    • 도서관 이용안내
    • 공지사항
    • 웹진

전체메뉴

  • 검색
    • 통합검색
    • 소장자료
    • 메타검색
    • 신착자료
    • 정기간행물
  • 전자자료
    • e-Journals A to Z
    • Core Journals
    • eBooks
    • 학술 DB
    • 통계 DB
    • 전문정보 DB
    • 최신 e-리포트
  • KEEI 발간물
    • 연구보고서
    • 정기간행물
    • 발간물회원
  • 참고웹사이트
    • 국제기구
    • 통계기관
    • 국가별 에너지관련부처
    • 국내외 유관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기관
    • 에너지전문지
  • My Library
    • 개인정보수정
    • 대출/연장/예약
    • 희망도서신청
    • 입수알림신청
    • 원문신청
    • 내보관함
    • 검색이력조회
  • 도서관서비스
    • Mission&Goals
    • 전자도서관이용안내
    • 도서관이용안내
    • 공지사항
    • 웹진

닫기

검색

홈아이콘 > 검색 > 상세보기

상세보기

표지이미지
자료유형 : 단행본
서명 / 저자 : 에너지 신산업 육성정책/적용사례 및 태양광산업 기술개발동향과 시장분석 /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단체저자 : 지식산업정보원 R&D정보센터
knin
발행사항 : 서울 : 지식산업정보원, 2015
형태사항 : 645p. : 도표, 그래프 ; 30cm.
ISBN : 9788994111094(8994111093)
청구기호 : HD9681 에194
QR Code 정보
 

태그

입력된 태그 정보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소장자료

부가정보

제 Ⅰ편 에너지 신산업 분야별 정부육성정책 및 실태분석
제 1장 에너지 신산업 및 핵심기술개발 전략 정책
1. 최근 에너지 시장의 주요 동향
1) 유가 하락과 불확실성 증대
2) 온실가스 감축요구 확대
3) 소통, 안전, 혁신에 대한 국민적 요구 증가
2. 2015년 에너지 정책의 방향
1) 에너지 신산업 성과 가시화
(1) 2014년 6대 모델을 발굴하고 당장 실행 가능한 정책 추진
(2) 2015년 가시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세 가지 방향으로 정책추진
2)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1) 2015년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7,800억원 투입
(2) 규제 및 제도개선 효과 가시화
(3) 7월부터 신재생에너지 연료혼합제도(RFS) 시행
(4) 소규모 사업자에 대한 정책 지원 확대
(5) 저유가 대비 신재생에너지 지원방안 수립
3) 시장중심의 에너지 수요관리 추진
(1) 수요자원 시장 거래 활성화와 수요자원 신뢰성 제고
(2) 에너지 효율시장 제도 시범 도입
(3) 수요관리 확산 기반 조성
4) 유가 변동을 반영한 에너지 정책 점검
(1) 석유가격에 유가변동이 적기 반영되도록 경쟁촉진과 시장 모니터링 강화
(2) 도시가스 요금에도 유가변동 요인을 반영
(3) 비축유 추가 확보 추진
(4) 유가 불확실성에 대응한 전력시장 안정화 - 차액계약제도 도입
(5) 저유가로 확보된 투자여력을 활용, 에너지공기업이 선제적으로 투자
(1) 제 7차 전력수급계획 수립
(2) 제 12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 수립
6) 해외협력사업 성과 확대
(1) 해외자원개발 사업의 성과 확대
(2) 자원개발 역량 강화와 공기업 재무건전성 제고
(3) 동해 대륙붕 탐사 사업 지원
(4) 동북아 오일허브 본격 추진
(5) UAE원전 사업을 차질 없이 관리
7) 안전 최우선의 원전 관리·운영
(1) 계속운전 추진
(2) 신규원전 건설·운영
(3) 원전 비리 방지대책 추진
(4)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시설 운영
(5) 사용 후 핵연료 관리대책 수립 추진
8) 에너지 복지 확충
(1) 에너지바우처 지원
(2) 저소득층에 대한 에너지 비용 절감 지원
9) 공공기관 혁신과 사이버 보안 강화
(1) 공기업 부채감축, 방만경영 근절 지속 추진
(2) 공기업형 기관 대상 생산성 향상 추진
(3) 주요 에너지 시설 사이버 공격 대응역량 강화
3. 에너지 신산업 및 핵심 기술개발 전략 이행계획
1) 에너지 신산업 주요 프로젝트
(1) (전략1) ‘시장으로’ 정부 마중물 정책 강화, 총 4조 6천억원 시장 창출
(2) (전략2) ‘미래로’ 핵심기술개발 과제 30개 추진, 올해 총 4,300억원 투자
(3) (전략3) ‘세계로’ 해외 진출 지원 인프라 확보, 국제 기술협력 강화
2) 에너지 신산업 주요 프로젝트 상세 설명자료
(1) 전기차 유료충전서비스 사업 - 제주도 민간 유료충전사업 및 배터리리스 서비스
(2) 전기차 배터리 리스사업
(3)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 - 울릉도 프로젝트
(4) 친환경 에너지타운 - 강원 홍천
(5) 당진화력 온배수열 활용사업
3) 기후변화 대응 기술혁신과제(30개) 현황
4) 국제유가, 탄소가격 등을 고려한 기후변화대응 기술혁신 방향
(1) 개 요
(2) 6개 핵심기술 분야별 기술혁신정책 방향(안)
4.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1) 개요
2) 주요 추진내용

제 2장 국내·외 수요자원 거래시장의 정책 동향 및 운영 방안
1. 수요관리(Demand Side Management)
1) 수요반응
2) 에너지효율
3) 전력수요 증가로 인한 수요반응의 대두
4) 우리나라 수요반응 제도
(1) 요금기반 수요반응
(2) 인센티브 기반 수요반응
2. 국내 수요자원 거래시장의 정책 동향 및 운영방안
1) 수요자원 거래시장의 도입배경
(1) 정책 환경 변화
(2) 수요시장
(3) 수요자원 거래시장 참여 수요관리사업자 리스트
2) 수요자원 거래시장 운영방안
(1) 기본방향
(2) 세부 운영방안
3) 수요자원 거래시장 세부설계
(1) 수요자원 거래 시장 규모
(2) 수요자원의 거래요건
4) 국내 수요자원 관리 및 거래 시장 현황
(1) 국내 수요관리 프로그램
(2) 성과
(3) 수요자원 거래시장 현황
5) 수요자원의 전력시장 참여의 기대와 우려
(1) 긍정적인 요인
(2) 부정적인 요인
6) 공정한 시장 환경 조성
(1) 대기업 참여 제한
(2) 한전과 중소수요관리사업자간 상생협력
7) 시사점
8) 기대효과
3. 해외 수요자원 거래시장 정책 동향
1) 미국
(1) 수요관리 정책의 태동 및 동향
(2) 수요자원 관리 동향
2) 싱가포르
(1) 수요자원의 참여 용량
(2) 수요자원의 입찰
(3) Baseline의 설정
(4) 수요자원의 정산
(5) 게이밍(Gaming)과 페널티(Penalty)
3) 일본
4) 유럽
(1) 영국
(2) 프랑스
(3) 아일랜드
5) 해외 수요반응 정책의 시사점
6) 세계 수요반응 시장 전망

제 3장 에너지 저장장치산업 기술 및 최근 실태와 신산업 정책
1.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개요
1)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개념
2)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구성요소
2.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필요성 증대
1) 효율적인 전력 활용, 고품질의 전력 확보, 안정적인 전력 공급 측면
2) 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력의 품질 및 안정성 문제 측면
3) 단기 정전 방지를 위한 비상전원으로의 중요성 측면
4) 스마트그리드 구현을 위한 기술 측면
3.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효과
1) 기존 전력계통의 특성
2) 스마트 그리드와 ESS
4. 에너지저장시스템의 기술동향
1)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종류 및 특징
(1) 에너지저장기술
(2) 전기저장기술
(3) 열에너지저장기술
2) 국내·외 기술 개발현황
(1) 해외 기술 개발 현황
(2) 국내 기술 개발 현황
가. 리튬 2차 전지
나. NaS 전지
다. 레독스 흐름(Redox Flow) 전지
라. 플라이휠
마. 수퍼캐패시터
바. CAES
(3)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5.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시장 동향
1) ESS 시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
2) ESS 시장의 현황
(1) 전 세계 전력 현황
(2) ESS 국내?외 시장 현황
(3) ESS 국내?외 시장 전망
6. 국내·외 에너지저장산업 동향
1) 신재생에너지 Re-bound와 민간 주도의 ESS 프로젝트 확대
2) 기업 참여 확대를 통한 기술 발전과 실질적 가치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 등장
3) 각국 정부의 ESS 보급을 위한 직간접적 정책 지원 확대
4) 잠재적 시장에서 가시적 시장으로- 빨라지는 ESS 시장 개화
(1) 최근 3~4년 ESS 프로젝트 수 급증
(2) 기업 참여 급증
(3) 낙관적으로 변하는 ESS 시장 전망
5) ESS 시장에서의 파트너십
7. 국내·외 에너지저장산업 정책
1) 해외 에너지저장산업 정책 및 추진현황
(1) 미국
(2) 캐나다
(3) 일본
(4) 독일
(5) 영국
(6) 이탈리아
2) 국내 에너지저장산업 정책 및 제도개선
(1) 주파수 조정(Frequency Regulation)
(2) ESS 보급 정책
(3) 에너지저장 산업 인프라 구축
가. 시험·평가·인증 기반 구축
나. ESS 인력 양성 지원
다. 국제 표준화 및 특허 지원
(4) 국내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
가. 신규 비즈니스 창출을 통한 보급 확산
나. 에너지저장 시스템 설치 의무화 방안 검토
8. 국내·외 스마트그리드 ESS 표준화
1) 표준화의 필요성
2) 국내 현황
(1) 국내 ESS 관련 기술기준
3) 국외 현황
(1) 해외 ESS 표준제정 기관
(2) IEEE의 표준화 동향
(3) IEC, ISO의 표준화 동향
4) ESS 표준화의 파급 효과
(1) 기술적 측면
(2) 경제적·산업적 측면
(3) 사회정책적 측면
9. 에너지저장시스템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1) 발전자원으로 활용
(1) 차익거래(Electric Energy Time-shift : arbitrage)
(2) 전력 공급용량(Electric Supply Capacity)
(3) 예비용량
(4) 주파수 조정
(5) 자체기동(Black Start)
2) 송배전망 연계 활용
(1) 송배전망 보조(혼잡완화 및 투자지연)
(2) 전력품질 향상
(3) 신재생에너지 연계 활용
3) 수요자원으로 활용(수용가)
(1) 에너지비용 절감(부하관리)
(2) 전력품질 서비스
(3) 백업전원(전력 신뢰성 서비스)
10. 에너지수요관리 ‘수요대응형 ESS’
1) 프로젝트 1 : Grid 연계형 ESS 개발(주파수조정)
2) 프로젝트 2 : Grid 연계형 ESS 개발(피크부하절감)
3) 프로젝트 3 : 수용가 Utility용 ESS 개발
4) 프로젝트 4 : 신재생에너지 연계형 ESS 개발
5) 각 프로젝트별 국내 시장동향
(1) 주파수조정용 ESS
(2) 피크부하절감용 ESS
(3) 수용가 Utility용 ESS
(4) 신재생에너지 연계형 ESS
6) 프로젝트별 중점기술
(1) Grid 연계형 ESS 개발(주파수 조정)
(2) Grid 연계형 ESS 개발(피크부하절감)
(3) 수용가 Utility용 ESS 개발
(4) 신재생에너지 연계형 ESS 개발
7) 투자대비 편익(정량)
11. 수용가 에너지저장시스템 경제성 분석
1) 분석의 필요성
2) 경제성 판단 기준 계량화 방법
3) 에너지저장시스템의 비용 및 편익 산정
(1) 에너지저장시스템 비용 산정
(2) 에너지저장시스템 편익 산정
가. 에너지비용 편익 추정방법
나. 에너지비용 편익 추정결과
4) 에너지저장시스템 경제성 및 민감도 분석
(1) 경제성 분석의 전제조건
(2) 경제성 분석결과
(3) 경제성 민감도 분석결과

제 4장 에너지자립섬(독립형마이크로그리드)사업 실증 및 최근사례 분석
1. 에너지자립섬마을 개요 및 개념
1) 배경
2) 목적
3) 에너지자립섬마을의 개념
(1) 지속가능한 주민공동체로서 저탄소 에너지자립섬마을
(2) 지역에너지 자립률이 높은 마을로서 저탄소 에너지자립섬마을
(3) 주민 스스로가 참여하고 결정하는 에너지 정책
2. 상위계획 및 관련 법규의 검토
1) 상위계획
(1) 국가에너지기본계획
(2)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06~2020)(국토교통부, 2006)
(3)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2009~2030)(지식경제부, 2008)
2) 관련 법규 및 제도
(1) 에너지 기본법(2013. 3 개정)
(2) 신·재생에너지법(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2013. 7 개정)
(3)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및 제도
3. 국내외 에너지자립섬마을 적용사례 분석
1) 국외사례
(1) 영국
(2) 독일
가. 윤데 마을
나. 모바흐 공동체
다. 브로이베르그 라이-브라이텐바흐
라. 마우엔하임
마. 쉐퍼라이
바. 자에르벡 자치시
(3) 오스트리아 귀씽(Gussing)
(4) 덴마크 삼쇠섬
(5) 일본 구즈마키
(6) 실패 사례
(7) 시사점 도출
2) 국내 사례
(1) 당사도
(2) 통영 연대도
가. 사회적 자원
나. 생태적 자원
다. 기술적 자원
라. 제도적 지원
마. 경제적 자원
바. 성공 요인
(3) 제주도 ? 가파도
(4) 제주도 ? 마라도
(5) 부안 등용마을
(6) 광주 신효천 마을
(7) 제주도 동광리 그린 빌리지
(8) 대구시민 햇빛발전소
(9) 창원시 가월마을
3) 시사점 도출
(1) 인식 전환 필요
(2) 통합적 정책 패키지와 단계적 접근 필요
(3) 하이브리드 접근(상향과 하향의 결합) 필요
(4) 주민참여와 역할 분담
(5) 사회적 학습
(6) 에너지자립과 포괄적인 녹색전환 시도
(7) 지역발전 전략으로서 추진
4. 우리나라 에너지자립섬 구축사업 계획 및 최근실태
1)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자립섬 구축사업 계획
(1) 사업 개요
(2) 사업 내용
(3) 세부 계획
가. 울릉도 현재 전력설비 현황
나. 단계별 신재생설비 도입 계획(案)
다. 도서지역 정책지원 사항
라. 울릉도 신재생에너지 조성사업 조감도(案)
(4) 특수목적법인(SPC) 설립
2) 인천광역시 에너지자립섬 구축계획
(1) 에코아일랜드 조성사업
(2) 백아도 탄소제로섬 조성(2013 융복합 지원사업)
(3) 덕적도 에너지자립섬 조성(2014 융복합 지원사업)
3) 전남 신재생에너지 자립섬 추진 현황
(1) 대상 섬 현황
(2) 추진 계획
(3) 지금까지 추진상황
(4) 향후 계획
4) 제주 추자도 에너지자립섬 구축 추진
(1) 추자도 일반현황
(2) 사업개요
(3) 세부 추진계획
5.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1) 배경
2) 마이크로그리드 구성 및 요소기기 개발
3) 마이크로그리드의 운영 기술
(1) 마이크로그리드의 제어 구조
(2) 마이크로그리드 EMS 개발
4) 국외 신재생에너지 및 마이크로그리드 관련 정책과 실증 사례
(1) 정책
가. 북미지역
나. EU
다. 동북아 지역
(2) 국외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사례
가. 캐나다
나. 그리스
다. 일본
5) 국내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현황 및 실증
(1) 덕적도
(2) 울릉도
(3) KEPCO
6)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에 대한 견해
(1) 미국 전력회사의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참여에 대한 견해
(2) 마이크로그리드 확대에 따른 매출 변화에 대한 견해
(3) 세계 마이크로그리드 투자현황
(4) 마이크로그리드 전망
7) 마이크로그리드 특허출원

제 5장 제로에너지빌딩 신산업 정책과 적용사례 및 최근 기술 분석
1. 제로에너지빌딩 개요
1) 제로에너지빌딩 개념
2) 제로에너지빌딩 필요성
2. 제로에너지빌딩 정책동향
1) 국내 정책동향
(1) 건물에너지 효율화 제도/정책의 지속적 강화
(2) 건물 부문의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저감 정책
(3) 제로에너지빌딩 정책의 성과와 한계
(4) 제로에너지빌딩 조기 활성화 방안
(5) 제로에너지빌딩 단계별 추진전략
(6) 제로에너지빌딩 상용화 방안
(7) 지원방안
(8) 시장 활성화 기반조성
(9) 시범사업 추진방안 및 현황
(10) 제로에너지빌딩 시범사업 저층형 선정 현황
(11) 향후 추진 일정
(12) 시범사업(저층형) 사업성 분석
2) 국외 정책동향
(1) 미국
(2) EU
(3) 일본
(4) 두바이
3. 제로에너지빌딩 시장 동향
1) 시장의 특징
(1) 에너지절감형 건설 신기술에 대한 초기 단계
(2) 상업용 건물 커튼월/창호 시스템
(3) 고성능 단열재 및 외피시스템 시장
(4) 건물에너지 측정/관리시스템
(5) 국내 산업의 원천기술 확보 시급
2) 국내 시장동향
(1) 상업용 건물 커튼월/창호 시스템
(2) 고성능 단열재 및 외피시스템
(3) 건물에너지 측정/관리시스템
(4) 국내 건설 산업의 해외진출 급증
(5) 개별 기술에서 융복합 기술개발로 전환 필요
(6) 국제 경쟁력 향상을 위한 표준화 체계 구축 필요
(7) 신기술, 신공법 보급 확대를 위한 정부지원 및 실증 사업 필요
3) 국외 시장동향
4. 제로에너지빌딩 기술개발 동향
1) 국내 기술개발 동향 및 적용 사례
(1) 지자체
(2) 연구소 및 대학
(3) 기업
2) 국외 기술개발 동향 및 적용 사례
(1) 미국
(2) 유럽
(3) 일본
3) 현재기술 분석 요약
(1) 유리/창호 관련 기술개발현황
(2) 커튼월/창호시스템 분야 국내실증현황
4) 국내 업체의 전략품목별 기술 분석
(1) 상업용 건물 고단열 커튼월/창호 시스템
가. 초단열 유리 신소재
나. 고단열 커튼월/창호시스템
(2) 신축/기축용 고단열 외피시스템
가. 초단열 신소재
나. 한국형 외단열 시스템
(3) 건물 전주기 설비 및 에너지측정/관리시스템
(4) 제로에너지 그린홈/그린빌딩 건축기술 패키지
(5) 레고형 그린빌딩 리트로핏 랩
5) 기술 트리 맵핑 분석
(1) 그린빌딩기술
가. 건물 외피시스템
나. 초단열 신소재
다. 환경친화형
(2) 에너지관리기술
가. 차세대 BEMS
나. 건축설비 지능형 제어기술
(3) 고효율설비시스템
가. 고효율 열원설비
나. 설비시스템 최적화
6) 특허분석
(1) 국가별/연도별 분석
(2) 한국
(3) 미국
(4) 일본
(5) 유럽
(6) 주요 출원인별 역점기술
(7) 특허동향분석 요약
7) 시사점
(1) 전략품목별 R&D 방향
(2) 전반적인 R&D 방향

제 6장 발전소 온배수열 사업 최근 실태와 적용사례
1. 온배수 배출 개요 및 정의
1) 발전소 온배수의 개념
2) 냉각수(온배수)의 방류
3) 냉각수(온배수)의 물리적 특성
(1) 온도
(2) 온배수 방출 속도
가. 퇴적물과 물의 흐름의 변화
나. 난류의 변화
4) 냉각수의 화학적 특성
2. 발전소 냉각수(온배수) 배출현황
1) 배출 냉각수(온배수)의 특성
2) 냉각수(온배수) 방류방식
3) 국내 냉각수(온배수) 배출 관리 실태
4) 국외 냉각수(온배수) 배출 관련 규제 및 기준
(1) 미국
(2) 영국
(3) 일본
(4) 네덜란드
(5) 오스트리아
(6) 독일
(7) 덴마크
(8) 뉴질랜드
3. 정책동향 및 관련계획 검토
1) 국제사회 동향
(1)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UNFCCC COP, Conference of Parties)
(2) 기후변화 정부간 위원회(IPCC, Intergovernment Panel on Climate Change)
(3) 미국
(4) 중국
(5) EU
(6) 종합 및 시사점
2) 우리정부 대응방향
(1) 온실가스 감축요구 강화
(2) 높은 화석연료 에너지 의존도 및 소비량
(3) 우리정부 대응
3) 관련법률 및 계획 검토
(1) 주요법률과 계획체계
(2) 관련계획 검토
(3) 에너지 신산업 관련 제도 개선
4) 국내 정책 동향
(1) 발전소 온배수 열에너지 활용 수도권 지역난방 보급
(2) 발전소 온배수 폐열 활용 지역주민 소득증대 사업 추진
4. 국내·외 발전소 온배수의 활용 현황 및 사례
1) 국내사례
(1) 농업부문
가. 남제주 화력발전소
나. 전남 곡성 금호타이어 공장
(2) 수산양식업 부문
가. 하동 화력발전소
나. 영동 화력발전소
다. 월성 원자력 발전소
라. 영흥 화력 발전소
마. 영광 원자력 발전소
바. 보령화력발전소
사. 고리원자력발전소
아. 지자체의 사례
2) 국외사례
(1) 일본사례
(2) 유럽사례
(3) 기타 외국사례
5. 온배수를 활용한 시법사업 현황
1) 국내 시법사업 사례
(1) 국내 발전소 온배수 시범 사업
가. 강원도 화력발전소 온배수 활용 방안
나. 충남 화력발전소 폐열이용 수산 양식장 조성
다. 충남 발전소 온배수 신재생에너지 활용 사업
라. 당진시, 발전소 온배수 활용 농업시설단지 조성 추진
(2) 국내 지연 특산물 관련 사례
가. 고창군 복분자
나. 금산군 인삼
다. 봉화군 송이
2) 국외사례
(1) 일본 나가노현 오가와村 전통만두
(2) 일본 효고 현 히메지시 오뎅
(3) 온배수를 활용한 지연(地緣) 특산물의 창출과 관광산업과 연계

제 7장 태양광 대여사업 및 전기차 대여사업, 유료충전 추진 현황과 사업성 분석
1. 태양광 대여사업
1) 태양광 대여사업 도입배경
2) 추진근거 및 절차
2. 국내 태양광 대여사업 추진 현황
1) 2013년 태양광 대여 시범사업
2) 2014년 태양광 대여사업
(1) 주요 사업 내용 (시범사업 대비 변경내용 중심)
(2) 추진 경과
(3) 태양광 대여사업자
가. 에스이아이비(주)
나. 한빛이디에스(주)
다. LG전자(주)
라. 쏠라이앤에스(주)
마. 한화큐셀코리아(주)
3) 2015년 태양광 대여사업 내용
(1) 2015년도 태양광 대여사업의 주요 내용
가. 사업규모 및 지원내용
나. 참여자격
다. 사업진행절차
라. 태양광 대여사업자 모집계획
마. 태양광 대여사업자 선정방법
3. 태양광 설치용량별 소비자 편익
1) 단독주택별 설치효과
2) 공동주택별 설치효과
4. 태양광 대여사업 해외사례
1) 미국
(1) 미국의 태양광 대여사업의 환경
(2) 미국 태양광 대여 기업
(3) 세제 지원
가. 높은 세액공제(연방 + 주정부)를 바탕으로 한 사업자와 투자자 유도
나. 폭 넓은 상계거래 용량
(4) 다양한 금융조달 환경
가. 태양광 대여 전용 금융상품(융자상품)
나. 대형 금융기관과 투자자들의 참여
(5) B2C 판매/홍보 구조 ? 소비자 친화형 영업
(6) 높은 전기요금
2) 일본
3) 호주
(1) 배경
(2) 진행
가. 해외 기업들의 진출
나. 호주 현지기업들의 진출
다. 호주 보수당 정권(2013년 9월 집권)의 태양광에 대한 비우호적인 정책기조가 변수
(3) Free Solar Panel Program, Free Solar PV Program
4) 이탈리아
(1) Barca Agri leasing
(2) Contratto Sole Mio (My Solar Contract)
(3) Roof-IT
(4) affitto-tetti-capannone-fotovoltaico (일종의 태양광 임대 복덕방)
5) 해외 사례들의 시사점
(1) 미국의 경우, 투자자(사업자)와 소비자 유인기반 넓음
(2) 금융상품과의 결합
(3) ABS의 활용
(4) 설치대상 확대 기반
(5) 해외진출 모델로도 활용 가능성 있음
(6) 소수 사업자의 지배력 강화
5. 전기자동차 상용화 시대 기반 조성정책
1)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 및 시장 활성화 계획
(1) 전략
(2) 정책 목표
(3) 추진과제
2) 세부 추진과제
(1) 핵심 기술개발 ⇒ 주행거리 확대
(2) 차량보급 확대 ⇒ 구매자 부담 완화 및 초기시장 형성
가. 보조금 지원(환경부)
나. 세제 지원(기재부, 행자부)
다. 공공기관 전기차 구매 의무화(산업부)
라. 보급차량 다변화(환경부)
마. 운행단계 지원(국토부, 산업부)
(3) 충전시설 확충 ⇒ 이용자 편의성 제고
가. 공공급속충전시설 확충(환경부)
나. 완속충전시설(개인) 보급(환경부)
다. 공동주택의 충전시설 설치여건 개선(산업부)
라. 공공급속충전시설의 효율적인 운영·관리(환경부)
(4) 민간참여 촉진 ⇒ 전기차 신시장·신산업 육성
가. 배터리 리스사업(산업부)
나. 민간 유료 충전사업(산업부)
다. 전기차 대여사업 활성화 지원(국토부)
6. 전기자동차 배터리 리스 사업
1) 사업 개요
(1) 사업 목적
(2) 지원규모
(3) 배터리 리스 사업모델 개요
2) 관련 규정
(1) 제1장 총칙
(2) 제2장 사업계획 수립 및 소요예산 반영
(3) 제3장 배터리 리스 지원사업의 운영체계
(4) 제4장 사업의 시행기관 선정 등
(5) 제5장 사업의 협약체결 등
(6) 제6장 사업비의 산정 및 관리 등
(7) 제7장 사업의 평가 등
(8) 제8장 보칙
3) 추진 방향
4) 신청자격
5) 협약 체결 및 사업 관리
(1) 사업 수행계획서 보완 및 협약체결
(2) 사업 수행
(3) 사업비 관리
7. 전기자동차 및 전지(배터리) 리스 판매사업 분석
1) 전기차 리스판매 방식 수익성 검토
2) 전기차 배터리 리스 사업 수익성 검토
3) 전기자동차 주요업체들의 리스판매 전략
(1) 르노-닛산 그룹
(2) GM
(3) 미쓰비시
(4) PSA
(5) BMW
(6) 기타 자동차업체의 전기차 판매 전략
8. 전기자동차 유료충전서비스사업
1) 추진배경
2) 추진계획
(1) 사업규모
(2) 추진일정
3) 전기자동차 충전 전용요금 비교분석 및 시사점
(1) 전기차 충전요금 구조 분석
가. 전력사간 전기차 전용 충전요금 운영현황
나. 전력사간 전기차 전용 충전요금 특징비교
(2) 전력사별 충전 전용요금 경제성 비교
(3) 결론 및 시사점
9. 전기차 민간 충전인프라 사업 추진 현황
1) 민간 충전인프라 구축 및 멤버쉽 사업 추진 현황
(1) BMW 그룹 코리아
(2) 포스코 ICT 전기차 충전 인프라 서비스 사업
(3) SK networks 전기차 비즈니스 모델
(4) 제주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2) 국내 전기차 충전설비, 운영 System 개발 현황
(1) 전기차 동시충전 가능 모델
(2) 급속 충전설비
(3) AC 급속 충전설비 <전기 택시 르노 sm3 전용>
(4) EV AC/DC Dual 급속 충전기 (2014년 개발)
(5) Multiple Standard 급속 충전기(2015년 신규 공급사양)
3) 공동 주택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현황 및 대책

제 Ⅱ편 태양광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전망
제 1장 태양광발전 기술개발 동향과 설비관리 및 유지보수 사업실태
1. 태양광발전 기술 개요
2. 태양광발전 고효율 태양전지(Solar Cell) 기술 개발동향
1) 태양전지 종류와 현황
2) 태양전지 동작의 기본원리
3) 박막형 태양전지
(1)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
(2) 화합물 박막전지
가. CIGS(CuInSe₂)
나. CdTe 태양전지
다. GaAs 태양전지
(3) 염료감응 태양전지
4) 태양전지의 기술진화별 분류
(1) 1세대 태양전지
(2) 2세대 태양전지
(3) 3세대 태양전지
5) 차세대 고효율 태양전지
6) 고효율 태양전지 기술개발 전망
3. 태양광발전 고효율을 위한 인버터(PCS) 기술 및 관리방안
1) 대용량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 기술
(1) 전 부하 영역에서 고효율을 가지는 계통연계형 태양광 인버터
(2) H-Bridge Multi-level topology를 적용한 Multi string 계통연계형 태양광 인버터
2) 태양광 발전용 마이크로인버터 기술
(1) 국내 동향
가. DC 링크를 포함하는 구조
나. 유사 DC 링크를 포함하는 구조
다. DC 링크가 없는 구조
(2) 국외 동향
3) 태양광 인버터에 요구되는 사양
(1) 직류 입력 전압 범위
(3) 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기능
(4) 단독운전방지 (Anti-Islanding) 기능
(5) 직류분 전류 검출
(6) 계통연계 보호 동작
(7) 통신기능 및 모니터링 시스템
(8) 대기 전력
(9) 중량
(10) 소음 저감
(11) 냉각방식 및 보호등급
4) 태양광 인버터의 설비선택 기준 및 관리 방안
(1)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2) TCO 부식
(3) 누전 유도
(4) 절연 저항
(5) 접지에 대한 전위
4. 대용량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계통안정화를 위한 제어전략기술 및 사례
1) 동적 계통지원
2) 정적 계통 지원
3) 계통 안정화를 제어 전략
(1) 종래의 제어 전략
(2) 제안하는 제어 전략
4) 국내 능동전압 제어기술 보급 확대
5. 태양광 BOS기술 동향
6. 태양광발전 고효율을 위한 신개념 태양광 추적시스템(Tracker)
1) 태양광 트랙커(Tracker)의 종류 및 특징
(1) Polar Ground Mount Tracker
(2) Horizontal String Ground Mount Tracker
(3) Pole Mount Tracker
(4) Flat Mount/Linkage Tracker
2) 국내 태양광 트랙커(Tracker) 개발 업체
(1) 리낙코리아
(2) 에이디
(3) 파루
(4) 하늘솔라에너지
(5) 한국 리레이
(6) 케이디파워
(7) 백광 플라텍
3) GPS 태양추적장치를 이용한 집광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4) 베이지안 네트워크기반 계층적 CPV 태양광 추적시스템
5) 국내 태양광 트래킹 시스템 산업의 전망 및 발전 방향
7. 태양광발전 최신 냉각/세정기술과 적용 사례
1) 모듈 냉각 방식
2) 실증 사례
3) 냉각/세정 기술
(1) 가정용 태양광 모듈 세정 시스템
(2) 대용량 태양광발전 O&M 시스템
8. 태양광발전 설비관리 및 운영관리 기술
1) 태양광발전시설 운영관리 필요성
2) 태양광발전시설 운영관리 관련 정책
(1) 전기사업관련
(2) 신·재생에너지 관련
3) 운영관리 최적화 방안
4) 운영관리 최적화 사례
(1) 광명시 노온정수장
(2) LG태안 태양광발전소
(3) 경북 상주 민간 태양광발전소
(4) 혼다 츠즈키 제작소
5) 적외선 열화상 특수장비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소 설비관리
(1) 태양광발전에서 사용되는 Solar Module의 품질검사
(2) 태양광발전 감시용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6)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운영관리 기술
7) IoT 기반의 원격/자동 관리 기술개발
9. 태양광 발전설비 진단 및 검사 관련 기술 현황
1) 국내외 태양광 모듈 평가기법
(1) 시스템 데이터 및 모듈 데이터
(2) 전선/커넥터 및 정션박스
(3) 글래스/폴리머 및 엽렬현상
2) 태양광 발전설비 진단 결과 신뢰도 향상 방안
(1) 현 운영상태 비교
(2) STC(Standard Test Condition) 조건으로 보정
(3) 태양광 발전 모듈 및 여타 설비 진단
3) 신재생에너지설비 인증

제 2장 국내·외 태양광발전 산업동향 및 지원정책 동향
1. 사막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1) 사막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개발 현황 및 시장 전망
(1)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2) 국외 기술현황
(3)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4) 국내 기술현황
2) 향후 계획
2.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1) 개황
2) 개요
(1) 수상태양광의 구조
(2) 수상태양광의 발전 특성
3) 수상태양광 기술개발 동향
(1) 프레임형과 부력일체형
(2) 고정형과 추적형
(3) 한국 수자원공사 수상태양광 발전
(4) 중부발전, 추풍령저수지 수면에 2MW급 준공
4) 전망
3. 신재생에너지 융합비즈니스모델
1) 창조경제/산업과 신재생에너지 비즈니스모델의 관계
2) 신재생에너지 융합비즈니스모델 국내외 사례
(1) 해외 사례
(2) 국내 사례
3) 태양광발전(PV)&에너지저장시스템(ESS)확대를 통한 예비전력 확보 방안
4) 태양광(PV)+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스마트전원 활성화 방안
5)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
(1) 기술 개요
(2) 태양광-풍력-디젤 하이브리드 발전
(3) 수요예측 및 기상 데이터를 활용한 시스템 설계 기술
(4) 전력변환장치 설계/제작/제어 기술
(5)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제어 및 운영 기술
(6) 기술개발 동향
(7) 국내 도서지역의 태양광-풍력 하이브리드 발전 동향
(8) 계통연계형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사업화시 고려할 사항
(9) 독립형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의 사업화시 고려할 사항
4. 태양광발전 국내외 정책동향
1) 해외 정책동향
(1) 일본
(2) 독일
(3) 미국
(4) 중국
2) 국내 정책동향
(1) 지역산업 창의융합R&D 시행
(2) 창조경제 혁신펀드 조성계획
(3) 충남창조경제 혁신센터 ‘태양광 클러스터 구축’
5. 태양광산업 동향
1) 국내외 보급현황
2) 국내외 주요 태양광발전 기업의 사업 영역 및 동향
(1) 국내 기업의 사업영역 및 동향 전망
(2) 국외 기업의 사업영역 및 동향 전망
3) 세계 태양광시장 현황 및 전망
(1) 수급 전망
(2) 가격 및 기업실적
(3) 회복가능성
4) 나라별 태양광시장 동향
(1) 중국
(2) 일본
(3) 미국
(4) 독일
(5) 칠레
(6) 남아프리카
5) 국내 태양광산업 현황
6) 주요 태양광 제품 시장 동향
(1) 폴리실리콘
(2) 웨이퍼 & 태양전지
(3) 태양광 모듈
7) 태양광발전 경제성 및 투자동향
6. 태양광 RPS 운영방안
1)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2) RPS제도 운영 및 추진절차
(1) 공급의무자 범위 (총 17개사, 2015년)
(2) 연도별 총 의무공급량 수준
(3) 태양광 별도 의무량
(4) 의무공급량 미이행분에 대한 과징금 부과
(5) 의무공급량 미이행분에 이행 연기
(6)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7)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가중치
3) 태양광 RPS 거래시장
(1) 계약시장
(2) 현물시장
4) RPS 시행 현황 및 문제점
(1) RPS 시행 현황 및 성과
(2) RPS 시행 문제점 및 제도 개선 필요성
5) RPS 제도개선 방안
6) 태양광REC 가격입찰 현황 및 예측
7. 태양광발전 사업자에 대한 금융지원 및 해외진출 금융지원
1) 2015년도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지원규모 및 조건
(1) 지원대상
(2) 지원규모
(3) 지원조건
2) 해외진출사업 지원 사업
(1) 개 요
(2) 자금추천심사 절차
(3) 기타 준수사항

서평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첫 서평의 주인공이 되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