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립트가 작동하지 않으면 사이트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바로가기

에너지경제연구원

메인메뉴

  • 검색
    • 통합검색
    • 소장자료
    • 메타검색
    • 신착자료
    • 정기간행물
  • 전자자료
    • e-Journals A to Z
    • Core Journals
    • e-Books
    • 학술DB
    • 통계DB
    • 전문정보DB
    • 최신 e-리포트
  • KEEI발간물
    • KEEI연구보고서
    • 정기간행물
    • 발간물회원
  • 참고웹사이트
    • 국제기구
    • 통계기관
    • 국가별에너지관련부처
    • 국내외유관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기관
    • 에너지 전문지
  • My Library
    • 개인정보수정
    • 대출/연장/예약
    • 희망도서신청
    • 입수알림신청
    • 원문신청
    • 내보관함
    • 검색이력조회
  • 도서관서비스
    • Mission&Goals
    • 전자도서관이용안내
    • 도서관 이용안내
    • 공지사항
    • 웹진

전체메뉴

  • 검색
    • 통합검색
    • 소장자료
    • 메타검색
    • 신착자료
    • 정기간행물
  • 전자자료
    • e-Journals A to Z
    • Core Journals
    • eBooks
    • 학술 DB
    • 통계 DB
    • 전문정보 DB
    • 최신 e-리포트
  • KEEI 발간물
    • 연구보고서
    • 정기간행물
    • 발간물회원
  • 참고웹사이트
    • 국제기구
    • 통계기관
    • 국가별 에너지관련부처
    • 국내외 유관기관
    • 경제인문사회연구기관
    • 에너지전문지
  • My Library
    • 개인정보수정
    • 대출/연장/예약
    • 희망도서신청
    • 입수알림신청
    • 원문신청
    • 내보관함
    • 검색이력조회
  • 도서관서비스
    • Mission&Goals
    • 전자도서관이용안내
    • 도서관이용안내
    • 공지사항
    • 웹진

닫기

검색

홈아이콘 > 검색 > 상세보기

상세보기

표지이미지
자료유형 : KEEI보고서
서명 : 국가 에너지절약정책 평가시스템 구축
부분서명 : 정책효과 분석모형 및 방법론 구축
여러형태의서명 : A Unified System for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cy Program Evaluation
저자 : 연구책임자 이성인, 김창훈
참여자 : 김수덕, 민은주, Zulfikar Yurnaidi, 백민호
발행사항 : 울산,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형태사항 : vi 107p., 도표 그래프, 24 cm
총서사항 : KEEI 기본연구보고서 ; 14-34
일반사항 : 외부 참여자 ; ; 김수덕 민은주 Zulfikar Yurnaidi 백민호(아주대학교)
서지주기 : 참고문헌(p.95-99)수록
키워드 : 에너지절약정책, 에너지수요관리, 에너지절감, GCAM, 정책평가
ISBN : 9788955045024
청구기호 : RP KEEI 연5 14-34
QR Code 정보
 

태그

입력된 태그 정보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소장자료

관계정보

부가정보

공공부문의 에너지절약정책이라 함은 정부기관이나 공공기관 등에 적용되는 정책을 말하며, 공통부문 에너지절약정책은 전 부문을 아울러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을 통칭한 것이다. 그러나 공공·공통부문에서의 에너지절약정책에 대한 효과분석은 그동안 가정, 상업, 산업 등 다른 주요 부문에 비해 비중이 떨어지거나 보조적인 개념으로 인식되어 대부분의 경우 정책효과의 평가가 독립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였고 정책평가를 한다고 하더라도 단순한 형태의 실적 점검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공공·공통 부문의 에너지절약정책의 유형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분석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각 정책의 평가항목을 세부적으로 지정하거나 그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보다는 전체적인 정책분석 과정의 일반적 내용을 살펴보는 데 주력하였다. 특히 공통부문의 에너지절약 정책 중 연구활동(R&D)과 교육 및 홍보·캠페인의 경우 국내에서 정책분석 사례가 많이 없기 때문에 해외자료를 통하여 종합적인 내용을 확보하였다.

서평

등록된 서평이 없습니다. 첫 서평의 주인공이 되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