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 국제기구와 각국의 중앙은행은 기후변화로 인해 야기될 금융 시스템의 물리적 및 전환 리스크는 필연적이며 이는 기존의 금융위기 대응책으로는 회복시키기 어려운 규모일 것으로 예상
○ 화석연료에 기반하거나 탄소집약도가 높은 전통적 에너지기업은 ESG 중 특히 환경(E) 측면에서 리스크가 높아 ESG 투자가 확산되는 경영 환경에 대비필요

2. 연구내용 및 주요 분석 결과
■ESG 경영에 대한 이해
○ 2005년 유엔이 글로벌 금융기관들에 ESG 측면을 고려한 투자를 권고하면서 ESG 투자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 확대
○ ESG와 관련된 프로젝트에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수단은 크게 ESG 채권과 은행권의 ESG 금융 상품으로 구분
■ESG 경영 촉진을 위한 제도화 동향
○ 유럽은 EU를 중심으로 선도적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정보 공시를 제도화
○ 우리나라는 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제도가 2017년부터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에 대하여 자율공시 형태로 도입된 이후 점차 의무화 대상 범위 확대
■에너지부문 ESG 경영 현황 분석
○ 국내외 주요 에너지기업은 친환경, 넷제로 등의 환경 분야에 특히 주안점을 둔 ESG 경영 목표를 선포하고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각각의 분야에 적극적으로 관여
○ 국내 에너지 대기업 중에서는 SK 이노베이션이 2050년 이전 넷제로 달성 목표를 선포하고, Scope 3 배출량을 포함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시
■에너지부문 ESG 평가 분석
○ 국내외 주요 ESG 평가기관에는 MSCI, S&P, Refinitiv Eikon, 한국ESG기준원, 서스틴베스트, 한국ESG연구소 등이 있음.
○ 국내외 에너지부문 ESG 점수를 한국기업지배구조원과 MSCI 각각의 ESG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하였으며, ① 국내 에너지부문 기업과 비에너지부문 기업의 ESG 점수 비교, ② 국내외 주요국(한국,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 에너지기업의 ESG 점수 항목별 비교분석, ③ 국내외 기업의 ESG 점수 변화와 EU의 NFRD 도입 간의 관계 실증분석 실시
○ 국내에서 에너지기업의 ESG 점수는 비에너지기업에 비해 높지만, 글로벌 주요
■에너지부문 ESG 경영 개선을 위한 녹색금융 지원 방안
○ 국내외 ESG 평가 체계하에서 국내 에너지기업의 환경(E) 경영 성과는 높게 평가되기 어려운 구조
○ 중소 협력업체의 경우 ESG 경영 요구 확대로 인해 외부자금 조달 환경, 구매자 환경, 공급자 환경의 변화를 맞게 되며 이와 관련한 리스크 발생
○ 기업의 환경(E) 사업 자금조달 확대의 측면에서 기존의 녹색금융 활용에 유연성을 줄 수 있는 추가적 수단으로 최근에 도입되고 있는 지속가능연계 채권·대출 확대 필요
○ ESG 개선을 위한 녹색금융 활용 시 발생하는 외부비용에 대한 지원 확대 필요
○ 세제 및 현금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투자 유치 필요
○ ESG 경영으로 인한 단기적 기회보다는 리스크가 더 큰 중소 협력업체에 대해서는, 비재무정보 공시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추가적으로 필요

3. 결론
○ ESG 투자 원칙이 확산되어감에 따라 기업의 자금조달에서 비재무적인 ESG 경영 성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유럽이 선도적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정보 공시 및 공급망 내 ESG 관리를 법제화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비재무적 정보 공시 의무화 범위가 확대될 예정
○ 국내외 에너지부문 기업의 ESG 경영 현황 및 ESG 점수를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성적·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 주요 에너지기업은 국내 비에너지기업에 비해 ESG 평가 점수가 더 높으나, 해외 주요 에너지기업과 비교할 경우 전반적인 ESG, 특히 환경(E) 분야 평가에서 개선의 여지가 크다는 점을 확인
○ 국내 에너지기업의 ESG 경영 개선을 위한 고려사항은, 대기업 및 공기업의 경우 혁신 기술 개발 및 도입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등 환경 경영에 대한 지원 및 유인책이 필요하며, 중소 협력업체의 경우 잠재적 자금조달 리스크, 공급망 제외 리스크, 전반적 비용 증가 리스크가 존재함을 확인
○ 국내 에너지기업 ESG 경영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지속가능연계채권·대출 확대, 녹색금융 이용 시에 발생하는 외부비용 지원 확대, 세제 및 현금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투자 유치, 중소 협력업체의 비재무정보 공시 지원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