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1.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필요성
○ 정부가 목표하고 있는 수소 모빌리티 사회로의 이행을 지연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수소충전소에 대한 지역 주민의 수용성 부족문제가 대두되고 있음.
○ 수소충전소 건설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수용성 부족은 수소차량 보급․확산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연구는 부재한 상황임.
■연구의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음.
- 우리 국민의 거주지 인근 수소충전소 건설에 대한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을 식별하고,
- 수소충전소 건설에 대한 지역별 수용성의 차이와 지역별 결정요인의 특성을 분석하여,
- 수소충전소 건설의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한 다각적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론 및 주요 분석 결과
■연구의 주요 방법론
○ 먼저 문헌연구와 전문가자문그룹(EAG) 운영을 통해 수소충전소건설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 결정요인들을 사전적으로 발굴하였음.
○ 수소충전소에 대한 수용성의 크기를 정량화하기 위해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분석의 기반으로 하되, 이항로짓분석과 공간가중회귀모형(GWR) 등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수용성에 대한 다각적인 정량분석을 수행하였음.

■주요 분석 결과
○ 정량분석 결과에 따르면 문헌연구와 EAG를 통해 발굴한 수소충전소 수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결정요인들은 많은 경우에 선행연구 및 선험적 추론과 부합하게 나타났음.
○ 그러나 정량분석 결과가 선행연구나 EAG를 통해 예상된 선험적 추론과 상이하게 나타난 요인들도 나타났으며 주요 사항들은 다음과 같음.
○ GWR을 통해 전역적 모형에서 탐지할 수 없었던 지역별 수용성의 차이와 결정요인을 발견하였음.
○ 특히 수소충전소 건설에 대한 수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의 경우 수소충전소 자체에 대한 우려 이외 외부적 요인도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

3. 결론 및 정책제언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역할 구분 및 수소충전소 입지 지역의 주민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수용성 제고 전략을 수립
○ 중앙정부는 개별사업에 대한 수용성 개선 전략 마련보다 수소충전소에 대한 대국민 인식개선에 주안점을 두고 정책 대안을 마련
○ 지자체는 실제 충전소 사업자와 함께 지역 민원의 인식적 특성에 따라 차별적인 수용성 개선 정책을 전략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음.
○ 특히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수소충전소 건설이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는 경우 주민 수용성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소를 활용한 부분으로 지역상생(regional benefit)모델이 좋은 정책 대안이 될 수 있음.
■향후과제
○ 향후 수소충전소 수용성 개선을 위한 보다 세밀하고 정치한 정책대안 개발을 위해서는 실례(實例)들을 기반으로 한 실증연구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