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목차 | Close
제1장 인프라 아키텍처를 살펴보자
1.1 인프라란 무엇일까?
1.2 집약형과 분할형 아키텍처
1.3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
1.4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
1.5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

제2장 서버를 열어 보자
2.1 물리 서버
2.2 CPU
2.3 메모리
2.4 I/O 장치
2.5 버스
2.6 정리

제3장 3계층형 시스템을 살펴보자
3.1 3계층형 시스템의 구성도
3.2 주요 개념 설명
3.3 웹 데이터 흐름
3.4 가상화

제4장 인프라를 지탱하는 기본 이론
4.1 직렬/병렬
4.2 동기/비동기
4.3 큐
4.4 배타적 제어
4.5 상태 저장/상태 비저장
4.6 가변 길이/고정 길이
4.7 데이터 구조(배열과 연결 리스트)
4.8 탐색 알고리즘(해시/트리 등)

제5장 인프라를 지탱하는 응용 이론
5.1 캐시
5.2 끼어들기
5.3 폴링
5.4 I/O 크기
5.5 저널링
5.6 복제
5.7 마스터-워커
5.8 압축
5.9 오류 검출

제6장 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조
6.1 네트워크
6.2 계층 구조
6.3 프로토콜
6.4 TCP/IP를 이용하고 있는 현재의 네트워크
6.5 [레이어 7]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 HTTP
6.6 [레이어 4]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
6.7 [레이어 3]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 IP
6.8 [레이어 2] 데이터 링크 계층의 프로토콜 이더넷
6.9 TCP/IP를 이용한 통신 이후

제7장 무정지를 위한 인프라 구조
7.1 안정성 및 이중화
7.2 서버 내 이중화
7.3 저장소 이중화
7.4 웹 서버 이중화
7.5 AP 서버 이중화
7.6 DB 서버 이중화
7.7 네트워크 장비 이중화
7.8 사이트 이중화
7.9 감시
7.10 백업
7.11 정리

제8장 성능 향상을 위한 인프라 구조
8.1 응답과 처리량
8.2 병목 현상이란?
8.3 3계층형 시스템 그림을 통해 본 병목 현상
8.4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