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제1장 서 론
1. 연구개요
2. 연차별 연구보고서의 주요 가정 변화
2.1. 전기자동차 보급목표
2.2. 중·장기 전력수급 계획
2.3. 2차년도 연구주제 및 연차별 연구 비교
3. 2차 년도 연구의 연구체계도

제2장 그린뉴딜에 따른 전기자동차 전력소비량 추정
1. 육상 수송 현황 분석
1.1. 육상수송 차종 및 연료소비 현황
1.2. 승용 부문 연료소비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1.3. 화물부문 차종, 연료소비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 현황
1.4. 전기자동차 보급 현황
2. 차종별 전기 자동차 보급 전망 및 기초정보 분석
2.1. 차종별 전기자동차 보급 전망
2.2. 차종별 주행거리 및 연료소비량 추정
2.2.1. 차종별 연간 주행거리 추정
2.2.2. 차종별 연료소비량 추정

제3장 육상운송 연료전환 효과 분석
1. 육상운송 연료전환 효과 분석의 개요
2. 충전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
2.1. 생산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2.2. 시간대별 전기자동차 충전비중
3. 차종별 충전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추정 결과
3.1. 전기자동차 충전전력의 발전원별 비중 추정
4. 연료전환에 따른 대기환경 편익 추정
4.1. 연료별 환경피해비용
4.2. 차종별 대기환경 개선 편익 추정
4.3. 그린 뉴딜의 대기환경 개선 편익 추정

제4장 해상운송 전력화에 따른 전력사용량 추정
1. 해상부문 전력화 연구의 목적
2. 해상운송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규제 현황
2.1. 해상운송 부문 대기오염 물질 배출 현황
2.2. 국내외 해상운송 부문 환경규제 현황
3. 해상운송 부문 기술 개발 동향
4. 해상 부문 선박 및 에너지 소비 현황
4.1. 어업부문 에너지 소비 현황
4.2. 해상운송부문 에너지 소비 현황
5. 해상운송 부문 전력화 전망
5.1. 전기에너지 전환 가능 에너지 소비량
5.2. 해상부문 연료전환에 따른 전력사용량 추정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E-mobility 보급 확대에 따른 최대부하 관리 대응 전략
1.1. 수송 부문 전력사용량 증가가 최대부하에 미치는 영향
1.2. 수송부문 전력화와 최대부하 증가에 따른 대응방안
2. E-mobility 보급 확대에 따른 발전비중 대응 전략
2.1. 수송부문 전력사용량 증가가 대기환경개선에 미치는 영향
2.2.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증가에 따른 전력산업 대응방안
3. E-mobility 보급 확대를 위한 전력산업의 대응전략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