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제1장 서론

제2장 고형연료 관련 주민수용성 현황
1. 고형연료의 정의 및 분류
2. 주민수용성의 정의
3. 고형연료 발전시설 관련 집단갈등 주요사례 현황
4. 국제적 문제
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제3장 고형연료 현황 및 정책 변화
1. 국내 고형연료 현황
2. 고형연료 관련 정책 변화
2.1. 제도적 기틀 마련
2.2. 보급 및 확산 시기
2.2.1. 폐기물에너지화 종합대책
2.2.2.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대책 실행계획
2.2.3. 고형연료 제품 기준의 변화
2.2.4.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2.3. 규제 강화 및 지원 감소
2.3.1. 고형연료 사용에 대한 환경규제 강화 정책
2.3.2. 고형연료에 대한 REC 단계적 축소 및 폐지
2.3.3. 고형연료 사용시설 주민수용성 관련 제도

제4장 집단갈등 발생 사례 분석
1. 내포 집단에너지 시설
1.1. 내포 집단에너지 시설 주요쟁점: 연료전환
2. 나주 SRF 열병합발전소
2.1. 나주 SRF 열병합발전소 주요쟁점 1: 광역화
2.2. 나주 SRF 열병합발전소 주요쟁점 2: 정보전달 문제
3. 전주 팔복동 SRF 발전시설
3.1. 전주 팔복동 SRF 발전시설 주요쟁점: 행정적 절차
4. 포항 SRF 발전시설
4.1. 포항 SRF 발전시설 주요쟁점: 굴뚝 높이

제5장 고형연료 발전시설 관련 갈등의 특징
1. 폐자원에너지화 시설의 특징
1.1. 위험의 종류: 환경오염물질 배출 및 건강권 침해
1.2. 광역화
2. 집단에너지 발전 시설의 특징
2.1. 주거 밀집 지역 인근에 위치
2.2. 의사소통의 어려움
3. 새로운 기술 도입의 특징
3.1. 환경오염 피해의 불확실성
3.2. 제도적 공백

제6장 결론
1. 정책적 시사점
1.1. 고형연료 발전시설의 특징을 고려한 경제적 보상안 필요
1.1.1. 광역화 문제
1.1.2. 거리별 차이를 고려한 주변지역 설정 문제
1.2. 의사소통 개선: 협력적 거버넌스
1.3. 에너지 정책과 폐기물 정책의 통합적 접근
1.4. 새로운 시설의 도입과 주민수용성 문제
2.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