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제1장 서 론

제2장 자동차 전력화와 수송에너지 전환
1. 내연기관차에 대한 환경규제 강화
1.1. 개관
1.2. 온실가스 배출규제 강화추이
1.3. 배출가스 중 유해물질 배출 규제 강화추이
2. 환경규제 강화에 대한 내연기관차의 기술적 대응방향
2.1. 내연기관 배출 저감 기술 개발
2.2. 내연기관의 전동화: 하이브리드(HEV)차 개발
3.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자동차 전력화 현상 등장
3.1. 자동차 전력화 현상의 배경
3.2. 순수전기차의 개요
3.3. 수소전기차(수소연료전지차)의 개요
4. 자동차 전력화 현상에 대한 에너지 정책적 평가

제3장 수송에너지 전환정책의 기조변화 동향
1. 수송에너지 전환정책의 기조변화 배경
1.1. 포지티브 방식의 전기차 보급 정책수단의 한계
1.2. 네거티브 방식의 전기차 보급 정책수단의 등장
2. 네거티브 방식의 전기차 보급 정책수단(1): 내연기관차 운행 제한
2.1. 개관
2.2. 영국 런던의 LEZ(Low Emission Zone) 제도
2.3. 독일 베를린의 EZ(Environmental Zone) 제도
2.4. 벨기에 브뤼셀 및 안트워프의 LEZ(Low Emission Zone)
3. 네거티브 방식의 전기차 보급 정책수단(2): 내연기관차 판매제한
3.1. 개관
3.2. 미국 캘리포니아의 무배출차량(ZEV) 의무판매제도
3.3. 캐나다 퀘백과 브리티시콜롬비아의 ZEV 의무판매제도
3.4. 중국 신에너지차 의무생산제도(NEV Double Credit Policy)
4. 네거티브 방식의 전기차 보급 정책수단(3):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4.1. 개관
4.2. 중국의 내연기관차 생산 및 판매금지 논의 동향
4.3. 유럽의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논의 동향
4.4. 미국의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논의 동향
5. 수송에너지 전환정책의 기조변화에 대한 국내 대응

제4장 국내 수송에너지 전환 규모 전망
1. 개관
1.1. 확산모형 개요
1.2. 차량 확산모형 개발
2. 수송에너지별 차량 BAU 확산 전망
2.1. 차량 등록대수 변화 추이
2.2. 국내 승용차 시장의 잠재규모 추정
2.3. 수송에너지별 차량 BAU 확산 전망
3. 수송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른 전기차(xEV) 확산 전망
4. 수송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른 내연기관차 전환 규모 추정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연구내용 요약
2. 정책제언
2.1. 규제 법정주의에 입각한 수송에너지 전환 정책 입법화 필요
2.2. 석유산업 포함 내연기관 관련 산업과의 상생협력 병행 논의 필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