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및 주요내용

제2장 저소득층 에너지 지원과 소비지출
1. 소득지원 사업
1.1. 에너지바우처 제도
1.2. 연탄쿠폰 및 등유나눔카드
1.2.1. 연탄쿠폰
1.2.2. 난방유 및 연료 지원사업
2. 요금할인 사업
2.1. 전기요금
2.2. 도시가스요금
3. 에너지효율개선 사업
4. 가구당 에너지 지원액
5. 가구 연료비 지출
6. 소결 및 시사점

제3장 가구 에너지 소비
1. 가정부문 에너지 소비
1.1. 에너지원별 소비(총량 분석)
1.2. 가구당 에너지 소비
2. 가구원수별 에너지 소비
3. 난방 에너지원별 에너지 소비
4. 주택형태별 및 건축년도별 에너지 소비
5.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에너지 소비행태 분석
1. 선행연구
1.1. 미시자료를 활용한 최근 연구 사례
1.2. 계절별(또는 사용용도별) 연구 사례
2. 에너지 소비행태 분석
2.1. 분석모형
2.2. 추정결과
2.2.1. 전체 표본
2.2.2. 도시가스 난방가구
3. 소결 및 시사점

제5장 에너지지원 기준 설정(안)
1. 에너지지원 기준 사례 및 선행연구
1.1. 에너지지원 기준 사례
1.1.1. 국내사례 : 최저생계비의 광열비
1.1.2. 해외사례 : 영국
1.2. 에너지지원 기준 설정 선행연구
1.2.1. 박광수(2011)
1.2.2. 기초에너지보장제 도입방안 연구
2. 가구 에너지 소비량 추정
2.1. 연간자료를 이용한 분석
2.2. 계절별 자료를 이용한 분석
2.3. 도시가스 난방가구
2.4. 용도별 소비 분석(전력 및 기타 에너지)
2.5. 선형모형과 비선형모형 추정결과 비교
3. 에너지 지원 기준 소비량
4. 소결 및 시사점

제6장 종합 및 시사점
1. 연구 내용 요약
2. 정책 제언
2.1. 지원 수준 조정 방안
2.1.1. 중위소득 30% 및 최저주거기준 적용(안)
2.1.2. 중위소득 및 최저주거기준 확대 적용(안)
2.1.3. 지원대상의 확대
2.2. 기타 에너지지원 사업 개선 방안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방향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