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및 방법

제2장 세계 에너지 전환의 흐름
1. 선진국 에너지 전환의 개관
1.1. 에너지 전환의 특징 및 방향성
1.2. 주요국 에너지 전환의 추세: OECD 국가를 중심으로
2. 주요국 에너지 전환 정책 동향
2.1. 유럽연합
2.2. 중국
2.3. 일본

제3장 사회·기술시스템전환론의 이해
1. 사회․기술시스템전환론(시스템전환론)의 개요
2. 시스템전환론의 전제 및 관점
2.1. 사회․기술 시스템과 공진화
2.2 지속가능성을 위한 시스템 혁신
2.3. 사회․기술 시스템 전환의 다양한 단계
2.4. 전환 과정의 예측과 개입의 한계
3. 전환론 연구의 프레임워크
3.1. 다층적 관점(MLP)
3.2. 전략적 틈새 관리(SNM)
3.3. 전환관리(TM)
4. 사회․기술시스템전환론에 따른 전환 경로의 다양성
4.1. 전환 경로의 다양성
4.2. 전환의 정치경제적 속성

제4장 에너지 전환의 사례 분석: 독일과 영국
1. 사례 분석 및 대상 개요
1.1. 사례 분석의 개요
1.2. 사례 대상의 개요: 독일과 영국의 에너지 전환 유형과 경로 비교
2. 독일
2.1. 준비단계(1990년대: 1990~1998년): 지배적 맥락에서 틈새 형성
2.2. 시작단계(2000년대: 1998~2009년): 레짐과 틈새의 동시 확대
2.3. 가속단계(2010년대: 2009년~최근): 니침-레짐의 경쟁 심화와 경로 변화의 가능성
3. 영국: 대규모 집중된 ‘저탄소에너지’중심의 변형 경로 우세
3.1. 준비단계(1990년대: 1990~2002년): 민영화 레짐 맥락에서 재생에너지 소폭 증가
3.2. 시작단계(2000년대: 2002~2008년): 신자유주의 맥락에서저탄소 에너지 쟁점화
3.3. 가속단계(2010년대: 2008년~최근): 복잡한 사회-정치적 맥락에서 경로 변화의 가능성
4. 해외 사례의 종합과 시사점

제5장 사회·기술시스템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에너지 전환에서 정부의 역할
1. 다층적 접근법으로 본 우리나라 에너지 전환의 배경과 위치
1.1. 우리나라 에너지 전환을 둘러싼 거시환경과 지배적 레짐
1.2. 우리나라 에너지 전환의 현 위치
2. 에너지 전환에서 정부의 역할과 한계에 대한 시사점
2.1. 우리나라 에너지 전환에서 중앙정부 역할의 한계
2.2. 에너지 전환의 목표와 이행의 분산화․지역화
2.3. 시민의 참여와 공정한 시장을 통한 에너지 전환

제6장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