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실현과 탈원전·탈석탄을 통한 에너지 전환정책 추진을 위한 중요한 정책방안의 하나로 동북아 슈퍼그리드가 대두되고 있다. 동북아 슈퍼그리드와 같은 대규모 다자간 협력사업은 관련국들의 정책 및 법・제도의 조화 등 정책협력이 바탕이 되어야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정부의 주변국들과 전력망 연계를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정부는 한-중-일 및 한-러 송전망 구축을 통해 러시아 극동지역 및 몽골 고비사막의 청정에너지를 동북아 국가들이 공동 사용함으로써 ‘계통섬’이라는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여 전력수급 불안정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고, 나아가 동북아 역내의 긴장 완화에 기여한다는 비전을 갖고 2022년까지 일부 구간 착공 및 한-러 간 공동연구 완료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된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하여 가스, 철도, 항만, 전력, 븍극항로, 조선, 일자리, 농업, 수산 등 9개 분야의 협력(Nine-bridge) 전략을 제안하면서 “동북아 경제공동체와 다자안보체제까지 전망하는 큰 비전을 가지고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을 위한 협의를 시작할 것을 동북아지역의 모든 지도자들에게 제안”하였다. 이러한 한국 정부의 움직임은 주변국과의 전력망 연계와 관련하여 이전 정부에 비해 가장 강력한 의지를 갖고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