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세계 최대 원유수입국이었던 미국의 원유수입이 자국 내 셰일오일 생산 증가로 현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이러한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중국은 1996년 원유 순수입국으로 전환된 이후 국내 석유수요 증가와 국내 원유생산 정체로 수입 원유에 대한 의존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양대 원유수입국의 이러한 상황은 세계 원유교역 구조에 큰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즉 중동‧아프리카‧남미‧유럽의 주요 산유국으로부터 미국의 원유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중국 등 아시아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원유교역 구조가 형성되고 산유국들 간의 시장 확보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른바 ‘전략 상품’으로 널리 알려진 원유의 교역 구조 변화는 국제 관계의 변화 등 지정학적 영향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와 관련한 몇 가지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산유국으로부터 미국의 원유수입이 감소하면서 미국의 대(對)중동 외교 전략은 근본적으로 변화될 것인가? 미국의 중동산 원유수입이 감소하는 가운데, 중국의 중동산 원유수입 증가는 중국과 중동 산유국과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중국의 해외 원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미국의 해외 원유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는 상황은 양국의 관계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할 것인가? 이러한 변화 전망에 관한 질문과는 별개로, 이미 러시아는 전통적인 원유 판매처인 유럽시장의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중국에 대한 판매 확대를 위해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 원유교역 구조의 급격한 변화와 그에 따른 지정학적 영향은 우리의 에너지 및 석유 국제협력과 관련한 환경을 변화시키고, 나아가 우리의 에너지안보 환경을 변화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학제적 연구를 바탕으로 경제적 측면과 국제정치적 측면에서 이를 면밀히 분석하여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세계 원유교역 구조 변화와 지정학적 영향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에너지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양대 석유수입국인 미국과 중국의 원유수입 상황이 세계 원유교역 구조에 가져오는 급격한 변화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특히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법(SNA)을 적용하여 원유교역 네트워크에서 주요 국가들이 보인 중심성(centrality)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원유교역의 구조 변화가 주요 산유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와 국가 간의 관계, 그리고 국가와 국가 그룹간의 관계 등 지정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에너지 국제협력과 관련한 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