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한국은 2015년 파리협정에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로 결정하였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산업, 수송, 가정·상업, 공공 부문 등 모든 부문에서 감축 전략이 필요하다. 산업부문은 배출권거래제, RPS 제도 등, 수송부문은 그린카 확대, 자동차연비향상제도 등 대표적인 정책들이 있어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가정·상업, 공공 부문은 에너지효율개선 및 온실가스 감축 대상이 대부분 건물이다. 가정·상업, 공공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건물부문의 에너지효율개선 및 온실가스 감축이 획기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신정부의 전력부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30년 20%까지 올리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건물부문의 에너지효율개선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반드시 필요하다.
2015년 전체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량은 최종에너지 소비량의 약 19%를 차지하고 있으며, 2035년까지 연간 2%의 소비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현재 건물에너지 절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전체 건물에너지 소비량의 약 48%(2015년 기준)를 차지하는 주거용 건물에 대한 뚜렷한 정책은 부재한 실정이다. 지난 10년간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소비 증가는 정체되어 있는데, 이는 주거용 전기요금의 누진제, 에너지효율등급제도로 인한 가전기기의 에너지효율향상 등이 주거용 전기소비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왔다고 판단된다. 정부는 주거용 건물의 효율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에너지공급자효율향상제도(EERS)를 도입·시행하여 건물부문의 에너지효율을 개선하려 하였으나, 전기가격의 경직성으로 아직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건물의 물리적 특성보다 가구 특성이 주거용 건물에너지 소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최근 연구 결과(Yoshino et al, 2017)를 반영하여 가구 특성의 변화가 주거용 건물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주거용 건물의 에너지효율개선 및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1인 가구와 노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요즘 추세를 반영하여 1인 가구 및 노인 가구가 주거용 건물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