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 서론

II. 석유수급모델 개발의 배경
1. 국내 석유시장에서 정부의 역할
2. 석유 정제 설비 현황과 수급상황
3. 석유 수급모델의 필요성
4. 아시아 시장에 대한 고려

III. 외국의 석유 모델링 현황
1. 에너지 모델링 포럼(EMF)의 석유 모델 검토
2. 미 에너지부 산하 에너지정보국(US DOE/EIA)
가. 국가 에너지 모델링 체계(NEMS)
나. 석유 시장 시뮬레이션 모형(OMS Model)
다. 단기통합전망체계(STIFS)
3. 시사점

IV. 수요전망 모델 개발
1. 수요전망 모형 개발을 위한 고려 사항
2. 수요전망 모형 사례 검토
가. 국내 중장기 전망모형(유동헌)
나. 미국 중단기 전망모형(Adams-Griffin)
다. 미국 단기 수요전망 모형(STM/STIFS)
라. 모델 사례 검토
3. 수요전망 모델의 구조안
4. 모델 추정 결과
가. 수송 부문
나. 산업 부문 연료 수요
다. 산업 부문 원료 수요
라. 가정, 상업, 공공, 기타 부문
마. 기타
5. 모델에 의한 단기 수요 전망
가. 전망을 위한 주요 입력자료
나. 단기 수요 전망 결과
6. 향후 개선점 및 중기 수요전망모델로의 확장안

V. 석유 공급 모델 개발
1. 공급 모델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고려 사항
가. 공급 모델의 기능
나. 모델 수립의 원칙
다. 소요 자료 및 결과물의 형태
2. 공급 모델 사례 검토
가. 국내 석유제품 공급모델
나. 미국 중장기 석유제품 공급 모델(NEMS PMM)
3. 공급 모델 개발안
가. 이상적인 모델 구성안(Grand Framework)
나. 1단계 분석모델: 수요충족시 생산 과부족의 최소화
다. 2단계 분석모델: 재고관리 및 수출입을 통한 수급 균형
라. 3단계 분석모델: 전략적 제품 수출입
마. 4단계 분석모델: 설비 증설 투자
자료 : 정제시설투자 회수기준
VI. 결론
1. 석유 수급 모형의 정책적 활용
2. 석유 수급 모형의 개관
3. 향후 연구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