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제1장 서론

제2장 국내 대기오염 현황
제1절 국내 대기오염 증가요인
1. 인구증가
2. 소득증가
3. 도시화
4. 산업화
5. 대기오염 저감노력의 미흡
제2절 에너지 사용과 대기오염 물질
1. 입자상 물질
2. 가스상 물질
3. 기타
제3절 국내 대기오염 현황
1.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방법
2.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소
3. 오염물질 배출량 현황
4. 국내 대기의 오염도 현황

제3장 장기 에너지수용전망
제1절 경제·사회 여건변화 전망
제2절 에너지수요 전망
1. 총 에너지수요 전망
2. 에너지원별 수요전망
3. 부문별 에너지 수요 전망

제4장 에너지 이용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전망
제1절 에너지 사용과 오염물질 배출계수
1. 산업부문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계수
2. 수송부문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계수
3. 가정.상업부문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계수
4. 공공.기타부문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계수
5. 발전부문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계수
6. 지역난방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계수
제2절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전망
1. 아황산가스 배출량 전망
가. 에너지원별 아황산가스 배출량 전망
나. 부문별 아황산가스 배출량 전망
2. 질소산화물 배출량 전망
가. 에너지원별 질소산화물 배출량 전망
나. 부문별 질소산화물 배출량 전망

제5장 대기오염물질 저감기술
제1절 황산화물(SOx)저감기술
1. 연소전의 탈황기술
가. 중유탈황
나. 석탄의 연소전 탈황기술
2. 연소중의 탈황기술
가. 유동층 연소방식
나. 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3. 연소후의 탈황기술
제2절 질소산화물(NOx) 저감기술
1. 고정원에서 배출되는 NOx의 저감기술
가. 연소조절에 의한 NOx발생의 억제
나. 배기중의 NOx처리
2. 이동원에서 배출되는 NOx의 저감기술
가. 연료공급계에서의 NOx 저감기술
나. 배기계에서의 NOx 저감기술
다. 기타 저감기술
제3절 분진 저감기술
1. 집진장치
가. 중력집진장치
나. 관성력집진장치
다. 원심력집진장치
라. 세정집진장치
마. 여과집진장치
바. 전기수진장치
제4절 오염물질 저감기술 활용실태
1. 배가스탈황법(Flue Gase Desulphurisation)
2. 유동층 연소법(Fludised Bed Combustion)
3. IGCC
4. 선택적 촉매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제6장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정책수단
제1절 부과금(Chrage) 제도
제2절 제정지원(Subsidies) 제도
제3절 시장창출(Market Creation)
제4절 기타 유인책(Enforcement Incentives)

제7장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에너지부문 대책
제1절 환경보전 측면의 대기오염 관련대책
1. 현행 주요제도 개요
가. 배출시설 설치 허가제도
나. 기술감리제도
다. 자가측정제도
라. 배출부과금제도
마. 홍보 및 교육훈련
바. 연구개발
사. 자동차 공해 대책
제2절 에너지 부문의 대기오염 대책
1. 현행시책
가. 저유황유 공급확대
나. 연료대체 및 청정연료공급
다. 대체에너지 개발
2. 향후추진대책

제8장 에너지이용과 지구온난화
제1절 지구온난화 현상
제2절 온실가스 축적 및 대기중 농도 변화
1. 이산화탄소(CO2)
2. 메탄(CH4)
3. 아산화질소(N2O)
4. 염소불화탄소(CFCs)
5. 기타 온실가스
제3절 에너지이용과 이산화탄소 배출
1. 과거 이산화탄소의 축적 및 대기중 농도 변화
2. 이산화탄소의 배출원과 흡수원
제4절 세계 에너지사용 및 이산화탄소 배출 장기 전망

제9장 지구온난화 방지 기후협약
제1절 환경과 개발의 조화 문제
제2절 지구온난화 관련 과학적 연구 동향
제3절 정부간 기후협상 위원회(INC)
1. 지구온난화 문제의 국제 정치 문제화
2. 기후협약 협상의 주요 쟁점 사항
가. 개요
나. 협약의 기본원칙(Principles)
다. 온실가스 규제 약속 사항
라. 재정지원 및 기술이전
마. 특수상황에 있는 국가에 대한 고려
3. 기후협약에 대한 주요국가(군)의 입장
가. 개요
나. EC 및 북유럽
다. 미국
라. 개발도상국
마. 한국

제10장 이산화탄소 배출 장기전망과 에너지정책의 방향
제1절 Business As Usual 시나리오 전망
1. 개요
2. 에너지원별 CO2 배출 전망
가. 석유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전망
나. 석탄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전망
3. 부문별 CO2 배출 전망
가. 산업부문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전망
나. 수송부문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전망
다. 가정.상업부문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전망
라. 공공.기타부문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전망
마. 발전부문 에너지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전망
바. 부문별 에너지단위당 탄소비율 원단위 변화 전망
제2절 Business As Usual 전망에 대한 비교분석
1. 에너지원단위 고정 시나리오의 기본전제
2. 에너지수요 전망결과 비교
3. 이산화탄소 배출량 전망결과 비교
제3절 지구온난화와 에너지 정책의 방향
1. 에너지부문의 대응전략
2. 에너지 정책의 방향

제11장 결론

참고문헌 및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