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에너지 부문에서도 사물인터넷의 활용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그리드와 석유가스 부문에서 사물인터넷 활용 가치를 강조하는 연구들이 많다. 스마트그리드는 전력 부문에 정보기술, 통신기술, 디지털 제어기술이 결합되는 산물로서 사물인터넷의 한 분야인 에너지인터넷(Energy Internet)의 중심 무대가 될 것이다. 석유가스 분야도 원격 모니터링, 감지, 데이터 분석이 집약된 영역으로 사물인터넷의 활용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사물인터넷 활용은 스마트그리드와 석유가스 부문 외에 건물 에너지관리, 조명 관리 영역에서도 중시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이 제공하는 운영효율성 제고, 자산활용 최적화, 새로운 수입창출, 고용인력의 생산성 향상, 산업안전 제고 등의 편익은 에너지 부문에서도 중요한 가치이다. 그러나 에너지 부문 사물인터넷 활용이 편익 차원에서 효과를 갖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관련 여러 과제들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사물인터넷을 주제로 한 다른 보고서들에서 전반적으로 보안, 프라이버시,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인프라 비용, 센서 에너지, 빅데이터 분석, 이해당사자 협력, 규제, 소비자 수용성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의 편익과 해결과제는 에너지 분야에서도 유사하게 강조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미래신호 탐색 기법을 이용하여 에너지 부문 사물인터넷의 활용 범위와 앞으로 어떤 이슈가 부각될 것인지를 살펴본다. 현재까지 사물인터넷과 에너지의 컨버전스(convergence) 연구가 대체로 사물인터넷의 에너지 부문 응용범위 탐색 및 컨설팅 기관들의 시장전망 자료가 대부분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미래신호 관점에서 선도적으로 에너지와 사물인터넷의 접점을 살펴본다. 나아가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미래신호 탐색 기법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에너지산업의 지능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 방안 도출과 관련하여 통찰력을 높이는 기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