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제1장 서 론 1

제2장 탄소누출과 국경탄소조치 3
1. 교토의정서체제와 신기후체제 3
2. 탄소누출(Carbon Leakage) 6
3. 국경탄소조치(Border Carbon Adjustments) 10
가. 대응조치 및 국경탄소조치 논의 동향 12
나. 국경탄소조치 논의 전망 16

제3장 우리나라의 탄소누출과 국제무역 19
1. 생산 및 소비 기준 탄소배출량 21
2. 무역에 함유된 탄소배출수지(BEET)와 배출교역조건(PTT) 26
가. Input-Output(I-O) 분석 29
나. 분석자료 31
다. 분석결과 32
3. 온실가스 감축정책과 탄소누출 위험도 35
4. 우리나라의 업종별 탄소누출 위험도 분석 40
가. 제조업 업종별 탄소배출 분해분석 40
나. 업종별 탄소누출 위험도 측정 42
1) 탄소감축비용 44
2) 무역집약도 46
다. 업종별 탄소누출 위험도 분석결과 47

제4장 국경탄소조치의 파급효과 분석모형 53
1. 분석모형 및 자료 53
가. 분석모형 53
나. 분석자료 56
2. 기준 시나리오 57
3. 국경탄소조치 시나리오 59
4. 분석결과 60

제5장 결론 63

참 고 문 헌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