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전력판매단가 충격과 원유도입가 충격이 발생할 때 거시경제 변수들과 제조업별 변수들 중 몇몇 변수들은 비대칭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대칭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보고서에서 볼 수 있듯이 비록 원유도입가 상승은 GDP와 전체 제조업 GDP에 비대칭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에너지가격 변동에 대한 경제 변수들의 충격반응은 전력판매단가에 대한 충격반응이 원유도입가에 대한 충격반응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GDP의 충격반응보다 제조업 GDP의 충격반응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가 변동에 대한 GDP의 충격반응과 더불어 전기가격 변동에 대한 제조업 GDP의 충격반응에도 정책적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에너지가격 변동이 경제의 생산에 미치는 결과는 에너지 소비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에너지가격 변동에 대한 경제를 안정화 시키는 정책은 제조업에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제조업에서 전력소비를 줄이는 것이 경제를 안정화 시키는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전기가격 변동에 대한 제조업 GDP의 충격반응을 줄이는 경제 안정화 정책은 전기가격을 통제하는 것보다는 전력수요관리 정책을 통해 전기가격에 대한 전력수요의 반응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전력수요관리 정책을 통하여 기계사용에서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키면 경제활동을 위축시키지 않고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제조업 전력수요관리 정책은 산업적, 미시적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경제 안정화 정책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전력판매단가 5% 상승과 10% 상승에 대한 경제 변수들의 변동 폭의 상대적 크기는 각 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보고서의 분석만으로 전기가격을 한꺼번에 10% 올리는 것과 5%씩 두 번 오리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나은 정책인지는 판단하는데 한계점을 갖는다. 하지만 전력판매단가가 10% 상승 시 상대적으로 충격반응이 더 큰 제조업을 중심으로 더 강력한 전력수요관리 정책을 실시한다면 전기가격 상승에 대한 경제 충격을 완화시키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