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제 1 장 서 언

제 2 장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국겔적 논의동향
1. 지속가능한 발전의 일반적 개념
가. 문제의 제기
나. 지속가능한 발전의 일반적 개념
2. IEA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 논의사항
가. 경제적 지속가능성과 에너지공급의 안정성
나.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에너지부문
다. 사회적 지속가능성과 에너지부문
3. UNCSD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논의사항
가.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개념
나.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주요 과제
다. CSD 논의의 시사점 ·
4. WSSD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논의사항
가. WSSD 개관
나. WSSD 에너지부문 논의 결과
5. 기후변화 논의와 지속가능한 에너지
가. 기후변화와 지속가능한 발전
나. 기후변화협약과 지속가능한 발전
다. 교토의정서와 지속가능한 발전

제 3 장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에너지부문 정책과정
1. 우리나라 에너지부문의 지속가능발전의 과제
2. 안정적이며 신뢰성 있는 에너지공급
3. 환경친화적 에너지수급
4. 사회적 수용성

제 4 장 지속가능한 에너지정책 현황
1. 에너지절약형 경제구조 촉진
2. 에너지산업 구조개편 및 가격구조 합리화
3. 에너지절약제도의 산업화 유도
4. 에너지절약기술 및 대체에너지 보급

제 5 장 에너지 분석모형 문헌조사
1. 분석 이슈
2. 장기 에너지수요 전망 모형: KEEI상향식 모형
3. 거시경제효과 분석 모형 : CGE 모형
4. 에너지시스템 최적화 모형
가. 개요
나. EFOM-ENV 모형
다. MARKAL 모형
라. ICARUS 모형
마. AIM 모형

제 6 장 ENPEP 모형 구조
1. 서언
가. 개관
나. ENPEP/EALANCE 모형의 목적
다. 해법의 도출 방식
2. ENPEP/BALANCE 모형의 세부 구조
가. 개관
나, 에너지 네트워크와 균형의 도출
다. 노드의 종류
라. 화석에너지 노드
마. 신재생에너지 노드
바. 결정/할당 노드
사. 전환 노드
아. 복수 투입 전환 노드
자. 복수 산출 전환 노드
차. 비축 노드
카. 수요 노드
타. 가격 노드

제 7 장 지속가능한 에너지 분석모형 구축
1. ENPEP 노드의 주요 변수
가. 화석에너지 노드
나. 신재생에너지 노드
다. 결정/할당 노드
라. 전환 노드
마. 수요 노드
바. 가격 노드
2. ENPEP 한국모형의 기반구축
가. 우리나라의 에너지시스템 개관
나. 1차에너지 공급 부문
다. 전환 부문
라. 최종에너지 소비 부문
마. 에너지 절약 잠재량의 추정방식

제 8 장 결 어

< 참 고 문 헌 >

< 부록 > 기타 노드의 변수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