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정보 보기

| 초록 | 목차 | Close
Ⅰ. 서 언

Ⅱ. 국가보고서 작성 근거 및 주요내용
1. 국가보고서의 필요성 및 목적
2. 국가보고서의 작성 근거
3. 국가보고서의 주요 내용
가. 요약문
나. 온실가스 배출과 흡수에 대한 국가 환경
다. 온실가스 배출통계
라. 정책 및 조치
마. 온실가스 배출전망 및 정책 및 조치의 온실가스 절감효과
바. 취약성평가,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수단
사. 재정지원 및 기술이전
아. 연구 및 체계적 관찰
자. 교육, 훈련 및 공공인식

Ⅲ. Executive Summary
1. 국가환경
2. 온실가스 배출통계
3. 정책 및 조치
4. 온실가스 배출 전망
5. 취약성 평가,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 수단
6. 재정지원 및 기술이전
7. 연구 및 체계적 관찰
8. 교육, 훈련 및 공공인식

Ⅳ. 국가 환경
1. 지리적 위치
2. 기후
3. 인구
4. 정부구조
5. 경제
6. 농업
7. 임업
8. 에너지
9. 수송

Ⅴ. 온실가스 배출통계
1. 개요
2. 2000 온실가스 배출통계
가. 에너지 연소부문
나. 탈루성 부문
다. 산업공정 부문
라. 농업축산부문
마. 토지이용변경 및 임업 부문
바. 폐기물 부문
3. 온실가스배출 추이분석 (1990년~2000년)
4. 배출/흡수원별 온실가스 배출통계 (1990년~2000년)
가. 에너지 부문
나. 산업공정 부문
다. 비에너지 부문
라. 국제벙커링 및 바이오매스
5. 온실가스별 배출추이 (1990년~2000년)
가. 이산화탄소 (CO2)
나. 메탄 (CH4)
다. 아산화질소 (N2O)
라. 기타 온실가스 (HFCs, PFCs, SF6)

Ⅵ. 정책 및 조치
1. 기후변화협약 대응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
2. 기후변화협약 대응 체계
3. 정책 추진방향 및 요약
4. 에너지부문의 정책 및 조치
가. 통합관리형 에너지절약정책 추진
나. 에너지 효율개선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다. 대체에너지 및 청정에너지 보급 확대
라. 건축물 등 가정?상업부문의 에너지 효율개선
5. 수송부문의 정책 및 조치
가. 국가기간 교통망 및 교통수요의 효율적 관리
나. CNG 차량 및 경차 보급 촉진
다. 종합물류정보망 구축 및 물류장비 표준화
6. 농축산부문의 정책 및 조치
가. 논의 메탄 배출량 감축
나. 밭의 아산화질소 배출량 감축
다. 반추가축의 장내발효 개선
라. 축산분뇨 처리시설 개선
7. 임업부문의 정책 및 조치
가. 숲 가꾸기 사업 실시
나. 병해충 집중방제
다. 산불피해 방지 적극추진
라. 도시림 가꾸기 사업 추진
마. 해외조림 확대
8. 폐기물부문의 정책 및 조치
가. 매립가스 자원화사업 추진
나. 폐기물 처리시설 및 환경기초시설 확충
9. 교토메카니즘 및 통계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 및 조치
가. 교토메카니즘 대응기반 구축
나. 온실가스 국가 통계기반 구축

Ⅶ. 온실가스 배출 전망
1. 개요
2. 배출전망 종합
3. 주요 전제
가. 경제성장 전망
나. 산업구조 전망
다. 벼 재배면적 및 농경지 면적
라. 축산부문 전망 및 도입된 정책과 조치
마. 장래 폐기물 및 하폐수 발생량
바. 산림 및 기타 목질계 바이오매스 저장량 변화
4. 전망 결과
가. 에너지부문
나. 농업부문
다. 축산부문
라. 폐기물부문
마. 토지이용변경 및 임업부문
5. 전망방법
가. 에너지부문
나.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 배출
다. 폐기물부문
라. 토지이용변경 및 임업부문

Ⅷ. 취약성 평가, 기후변화 영향 및 적응수단
1. 한국 기후의 특성 및 기후변화 전망
2. 임업부문에 대한 영향 및 취약성
가. 산림면적의 변화
나. 산림식생대의 변화
다. 산림생태계의 구조 변화
라. 수목생장과 산림생산성에 대한 영향
마. 수목의 개엽시기에 대한 영향
바. 수목병해충상의 변화와 수목의 생리적 적응성
사. 산림동물에 대한 영향
아.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재해
3. 농업부문에 대한 영향 및 취약성
가. 농업기후 지수
나. 지구온난화가 농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4. 해양부문에 대한 영향 및 취약성
가. 수온, 해수면 및 수산자원의 변화 측정 결과
나. 수온 상승에 의한 해양생태계 및 수산자원 변화
다. 해수면 상승에 의한 영향
5. 적응수단
가. 임업부문의 적응수단
나. 농업부문의 적응수단
다. 해양부문의 적응수단

Ⅸ. 재정지원 및 기술이전
1. 재정지원
2. 기술이전
가. KOICA 에너지절약 및 이용효율화과정 연수사업
나. 한미 온실가스저감 기술협력 사업 (CTP-Korea)

Ⅹ. 연구 및 체계적 관찰
1. 개요
2. 부문별 연구 및 기술개발 사업
가. 에너지 및 산업부문
나. 수송부문
다. 농축산부문
라. 임업부문
마. 해양부문
바. 대기감시 및 환경
사. 기타연구
3. 정보교환
4. 국제활동
5. 체계적 관찰
가. 대기관측 시스템
나. 해양관측 시스템
다. 산림생태계 변화 관측

XI. 교육, 훈련 및 공공인식
1. 개요
2. 교육 및 훈련
가. 학교 재량활동시간을 통한 관련 내용 반영
나. 초?중?고교 교과과정 내용 반영
다. 에너지절약 시범학교 지정 및 운영
라. 환경보전 시범학교 운영
마.기후변화협약 특성화대학원 지정
바. 그 외 기후변화협약 관련 교육
3. 홍보 및 공공인식
가. 민간부문과의 파트너쉽 구축 및 교류 협력 증진
나. 「지방의제 21」을 통한 교육?홍보
다. 업종별 대책반 자체계획 수립지원
라. 홍보대책 및 체계 구축
마. 홍보자료 제작 및 배포
바. 에너지절약 홍보관 상설 운영
사. 녹색에너지가족(GEF) 운동
3. 민간단체의 활동 현황 및 전망
가.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
나. 에너지시민연대
다. 환경운동연합

XII. 결론 및 향후 추진계획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