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관서비스 > 공지사항
『에너지 유산과 미래』 展(Energy Heritage & Future) 은 많은 그래프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수록된 그래프를 에너지경제연구원 홈페이지에 게재하였으니 필요하신 분은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상단 <통계/동향>/<에너지 전시자료> 메뉴에 있습니다. [그래프 내용] [1] 영국 1차 에너지공급 흐름(1960~2018) [2] 영국 에너지원별 발전비중(1960~2018) [3] 독일 1차 에너지공급 흐름(1960~2018) [4] 독일 에너지원별 발전비중(1960~2018) [5] 네덜란드 1차 에너지공급 흐름(1960~2018) [6] 네덜란드 에너지원별 발전비중(1960~2018) [7] 국내 석탄 생산량(1976~2018) [8] 국내 탄광 수(1976~2019) [9] 1800년 이후 세계 1차 에너지공급 흐름(1800~2018) 및 에너지원별 공급비중(1900~2017) [10] OECD 1차 에너지공급 흐름(1971~2018) [11] 비OECD 1차 에너지공급 흐름(1971~2017) [12] 한국 1차 에너지공급 흐름(1971~2018) [13] 중국 1차 에너지공급 흐름(1971~2017) [14] 미국 1차 에너지공급 흐름(1960~2018) [15] 일본 1차 에너지공급 흐름(1960~2018) [16] OECD 경제성장과 에너지소비(2000~2018) [17] 미국 경제성장과 에너지소비(2000~2018) [18] 한국 경제성장과 에너지소비(2000~2018) [19] 독일 경제성장과 에너지소비(2000~2018) [20] OECD 에너지원별 발전량(1971~2018) [21] OECD 에너지원별 발전비중(1971~2018) [22] 비OECD 에너지원별 발전량(1971~2017) [23] 비OECD 에너지원별 발전비중(1971~2017) [24] 한국 에너지원별 발전량(1971~2018) [25] 한국 에너지원별 발전비중(1971~2018) [26] 중국 에너지원별 발전량(1971~2017) [27] 중국 에너지원별 발전비중(1971~2017) [28] 미국 에너지원별 발전량(1960~2018) [29] 미국 에너지원별 발전비중(1960~2018) [30] 일본 에너지원별 발전량(1960~2018) [31] 일본 에너지원별 발전비중(1960~2018) [32] OECD 에너지 용도별∙부문별 소비(2017) [33] 한국, 에너지 용도별∙부문별 소비(2017) [34] 미국, 에너지 용도별∙부문별 소비(2017) [35] 독일, 에너지 용도별∙부문별 소비(2017) [36] 일본, 에너지 용도별∙부문별 소비(2017) [37] 1850년 이후 세계 CO2배출 흐름(1850~2017) 및 주요국의 CO2 배출 흐름(1850~2017) [38] 세계 CO2 배출 순위 [39] 1인당 에너지소비와 온실가스 배출(2017) [40] 한국 온실가스 배출원별, 가스별 비중(2017) [41] OECD 온실가스 배출(1990~20017) [42] 한국 온실가스 배출(1990~20017) [43] 지구 평균 온도 2℃ 상승 억제를 위한 CO2 저감 곡선 [44] 지구 평균 온도 1.5℃ 상승 억제를 위한 CO2 저감 곡선 [45] 초미세먼지(PM2.5)의 노출인구 비율 (OECD, 중국, 인도 포함, 2017) [46] 주요지역∙국가 초미세먼지(PM2.5) 평균농도(1990~2017) [47] 세계 요인별 연간 사망자 수(2017) [48] 한국, 2030 온실가스 부문별 감축목표 [49] 정책 시나리오별 세계 발전비중 전망(~2040) [50] 세계 수력 생산량 순위(2017) [51] 세계 풍력 생산량 순위(2017) [52] 세계 태양광 생산량 순위(2017) [53] 세계 태양광 설비용량 순위(2017) [54] ICT 활용에 따른 전력소비 전망 [55]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 전망(~2030) [56] 디지털 기술의 도로화물 에너지수요/온실가스 감축 영향 [57] 디지털화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 [58] 디지털화에 따른 건물 부문 에너지원단위 전망 [59] 스마트 조명의 전력소비 절감 잠재량 [60] 수소전기차 보급 목표(~2030) [61] 수소충전소 보급 목표(~2030)
[연구원 홈페이지 메뉴 화면]